반응형 블루투스103 GAP(Generic Access Profile)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 Bluetooth 전체 Architecture Layer는 "Bluetooth Architecture Layer" 참고 GAP(Generic Access Profile)이란? - Upper Layer인 Profile에서, Lower Layer를 사용하기 위한, Pairing, Authentication, Security 등등의 블루투스 기본기능과 관련된 procedure를 정의한 Profile 1. User Interface aspect - Bluetooth Device Address, Name, Passkey 같은 블루투스 정보에 관련된 설명 - 자세한 내용은 ".. 2022. 12. 30.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s)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Bluetooth에서 사용되는 UUID: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assigned-numbers/ 1.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s)이란? - 모든 공간과 모든 시간에 걸쳐 고유한 식별자 - 128-bit(16-byte)이다. - Bluetooth_Base_UUID: 00000000-0000-1000-8000-00805F9B34FB 2. 16-bit(2-byte), 32-bit(4-byte) UUID - 128-bit UUID의 저장과 전송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 3. 128-bit .. 2022. 12. 22. AdditionalProtocolDescriptorList 예시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Bluetooth SDP는 "Bluetooth SDP" 참고 SDP Service Attribute는 "SDP Service Attribute" 참고 Attribute Attribute Value type Attribute Value ProtocolDescriptorList ProtocolDescriptor #0DataElementSequence ProtocolID UUID L2CAP Param: PSM PSM FooDataProtocol ProtocolDescriptor #1DataElementSequence ProtocolID UUID FooDataProtocol .. 2022. 12. 22. SDP Service Attribute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Bluetooth SDP에 대한 내용은 "Bluetooth SDP" 참고 UUID에 대한 내용은 "UUID" 참고 SDP Service Attribute 구조 1. UNIVERSAL ATTRIBUTE DEFINITIONS Attribute Name Attribute ID Attribute Value Type 설명 ServiceRecordHandle 0x0000 32-bit unsigned integer Service Record의 ID 0x00000001 ~ 0x0000FFFF: RFU ServiceClassIDList 0x0001 Data Element Sequenc.. 2022. 12. 20. Bluetooth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 Bluetooth 전체 Architecture Layer는 "Bluetooth Architecture Layer" 참고 1.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란? - 상대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보통 블루투스 연결할 때 사용된다. 2.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 Role - Client: 지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쪽 - Sever: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 3. SDP 구조 - Sevice Record와 Service Attribute로 구성된다. 3-.. 2022. 12. 19. 블루투스 데이터 전송 아키텍처(Bluetooth Data Transport Architecture)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전체적인 블루투스 아키텍처는 "Bluetooth Architecture Layer" 참고. 블루투스 데이터 전송 아키텍처는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위 블루투스 데이터 전송 아키텍처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계층(Layer)설명L2CAP Channels앱에서 보낸 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동기, 비동기, 제어 등등)에 따라 분류.결국 앱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다.Logical Links(논리적 링크)데이터의 종류(동기, 비동기, 제어 등등)의 기준을 제공.Logical Transports(논리적 전송)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분.. 2022. 12. 19.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