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루투스/GAP

GAP - User Interface aspect

by 테크쟁이 2023. 1. 2.
반응형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전체 GAP 설명은 "GAP(Generic Access Profile)" 참고

 

1. Bluetooth Device Address (BD_ADDR) - LL

- UI에서 블루투스 장치 주소를 표현할 때에는 "Bluetooth Device Address"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 12개 16진수를 MSB->LSB 순서로 표현해야 하고, ":"로 구분할 수 있다.  (‘000C3E3A4B69’ 또는 ‘00:0C:3E:3A:4B:69)

-Bluetooth Device Address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Bluetooth Address (BD_ADDR)" 참고.

 

2. Bluetooth Device Name (user-friendly name) - LMP

- UI에서 블루투스 장치 이름을 표현할 때에는 "Bluetooth Device Name"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 Link Manger layer에서 UTF-8 으로, 길이는 248 byte 까지 가능하다.

- 표시하는 블루투스 장치 이름이 너무 길 경우, 처음 20 자만 처리하면 된다.

 

3. Bluetooth Passkey (Bluetooth PIN) - LMP

- UI에서 블루투스 PIN을 표현할 때에는 "Bluetooth Passkey"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 Secure Simple Pairing은 6 자리 숫자가 사용된다. (000000 ~ 999999)

- Legacy Pairing은 Unicode (U+0000 ~ U+007F) 영문자와 숫자로 16 자리까지 가능하다.

- Baseband layer에서 PIN은 UTF-8로 변환되어야 한다.

 

4. Class of Device

- BR/EDR 디바이스 discovery 과정에서, 디바이스의 type을 알려준다.

- Major device class와 Minor device class를 알려주는 Bluetooth Device Class는, "Bluetooth Device Type"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 Service class를 알려주는 Bluetooth Service Type은, "Bluetooth Service Type"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 Class of Device의 자세한 내용은 "Class of Device" 참고

 

5. Appearance characteristic - GATT

- 디바이스 discovery 과정에서, GATT Server의 GAP Service가 디바이스를 설명하는 icon 또는 string과 mapping된 16 bit 숫자

 

6. Broadcast Code

- 암호화된 BIG 전송과정에서 data를 암호화를 하거나, BIG에 포함된 BIS를 수신하여 data를 복호화할 때 사용

- UI에서 블루투스 Broadcast_Code 파리미터를 표현할 때에는 "Bluetooth Privacy Code"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 UI에서 Broadcast_Code 파리미터는 최소한 4 octet string을 사용하고, 높은 보안을 위해서는 16 octet string을 사용한다.

- UI를 제외한 곳에서 Broadcast_Code 파리미터 길이는 128-bit 이다.

- String을 숫자로 변환할 때는 UTF-8을 사용하고, zero padding을 사용한다. (Børne House -> 0x00000000_6573756F_4820656E_72B8C342)

 

7. Pairing - LMP/SM

- BR/EDR Pairing은 LMP에서 관리하고, LE Pairing은 Security Manager에서 관리한다.

- 사용자가 허가한 passkey를 사용하여 link key를 생성하는 과정

 
반응형

'블루투스 > G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P - BR/EDR에서 Establishment procedure  (0) 2023.01.03
GAP - BR/EDR Idle mode procedures  (0) 2023.01.03
GAP - BR/EDR에서 Security aspect  (0) 2023.01.02
GAP - BR/EDR에서 가능한 mode  (0) 2023.01.02
GAP(Generic Access Profile)  (0) 20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