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68 Bluetooth Baseband Architecture Layer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 Bluetooth 전체 Architecture Layer는 "블루투스 아키텍처 계층" 참고 * Channel, Link, Transport 개념은 "Bluetooth Channel, Transport, Link" 참고 1. Bluetooth Baseband Architecture Layer는 아래와 같다. - Physical Channel: Frequency Hopping Sequence(FHS) 관련 계층 - Physical Link: Physical Channel과 1:1 연관되어 있고, Logical Transport에서 property를 사용하여 접근가능 -.. 2022. 12. 17. Frequency Hopping Sequence(FHS)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1. Frequency Hopping Sequence란? - 보안을 위해, 패킷 전송 시,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 - 4개 Physical Channel을 위한 Frequency Hopping Sequence가 있다. - Baseband에서 관리("블루투스 아키텍처 계층" 참고) 2. Frequency Hopping Sequence 종류 2-1. Basic channel hopping sequence - 주파수 변경 소스: Central의 Bluetooth clock과 Bluetooth address(BD_ADDR)의 UAP/LAP를 이용 - One-slot packet.. 2022. 12. 17. Link Supervision Timeout(LSTO) 1. Link Supervision Timeout(LSTO)이란? - 정상적인 disconnection 과정 없이,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정상적인 응답이 없을 때, 발생하는 link loss 2. Link Supervision Timeout(LSTO)이 발생하는 경우 - 상대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달거리 밖으로 이동하면 발생(out of range) - RF interface가 혼잡한 잡음(noise) 환경에서 발생 - 상대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전원이 갑자기 꺼지면 발생 3. Link Supervision Timeout(LSTO)이 발생되는 원리 - 블루투스 연결이 되면, Central의 Supervisoin Timeout 값을 Peripheral이 받는다. - 만약 정상적인 packet을.. 2022. 12. 16. Bluetooth Piconet, Scatternet, 그리고 Role Switch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1. Bluetooth device role - Central: Piconet에서 Clock과 FHS(Frequency Hopping Sequence)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 Peripheral: Piconet에서 Central의 Clock과 FHS(Frequency Hopping Sequence)를 동기화하는 디바이스 1-1. Piconet 1-2. multi-Piconet 1-3. Scatternet 2. Role Switch란? - Peripheral에서 Central로 role을 switch 하고, 원래 Central은 Peripheral이 된다. - Perip.. 2022. 12. 15. Bluetooth Mode (Active, Sniff, Sniff subrating, Hold)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1.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소모전력을 줄이기 위해 지원하는 모드 Bluetooth device가 연결되면 Connection State이 되고, Connection State에서 Mode가 변경된다. - Link Controller layer에서 관리("블루투스 아키텍처 계층" 참고) Active mode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모드 - 동시에 최대 Peripheral 7개 까지, Active mode가 가능하다. - Central과 Peripheral이 변경되는 Role switch가 가능하다. Sniff mode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 전력소모를 줄.. 2022. 12. 14. Bluetooth Device Address (BD_ADDR) 참고자료: https://www.bluetooth.com/specifications/specs/core-specification-5-3/ 1. 블루투스 주소의 구성 - 각각 블루투스 디바이스마다 주소가 다르기 때문에,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구분할 때 사용된다. - 48 bit (6 byte) - 리틀 엔디안(Little Endian) - Baseband layer에서 관리("블루투스 아키텍처 계층" 참고) LAP Lower Address Part - 3 byte Reserved LAP addresses: 0x9E8B00 ~ 0x9E8B3F (64개) - General Inquiry LAP (GIAC): 0x9E8B33 - Limited Inquiry LAP (LIAC): 0x9E8B00 UAP Upper .. 2022. 12. 14. 이전 1 ··· 24 25 26 27 28 다음 반응형